바이오스 종류 (uefi/ami/award/pheonix)

UEFI msi 공식 웹사이트 – fair use https://kr.msi.com/support/technical_details/DT_BIOS_Manual gigabyte 공식 웹사이트 – fair use https://www.gigabyte.com/kr/Motherboard/X570-UD-rev-10#kf 바이오스를 대체하는 규격입니다. 하드웨어 지원을 위해서 uefi가 인텔 2세대 이후부터 도입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지원하는 경우가 많기에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AMI 바이오스 대부분의 컴이 사용하는 바이오스이며, 현재는 uefi시스템으로 넘어갔습니다. AMI인 이유는 American Megatrends International LLC의 앞글자를 따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하드웨어

더 읽기 >

컴퓨터 비프음 3번 울림

(비프음이 안 나오나요? : 메인보드에 스피커를 다셔야 합니다.  스피커 사진: https://itcider.com/513)   증상 이유 컴퓨터 비프음 3회는 64KB RAM 인식 실패로 인해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 그래픽 및 메모리 재장착으로 가능합니다. 해결이 안 되었나요? 램이나 그래픽 고장 가능성이 있습니다. 램 고장은 램 슬롯에 차례대로 껴보거나 다른 컴퓨터를 이용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램 검사 및 재장착에 대한

더 읽기 >

컴퓨터 비프음 2번 울림

(비프음이 안 나오나요? : 메인보드에 스피커를 다셔야 합니다. 스피커 사진: https://itcider.com/513)   증상 이유 컴퓨터 비프음 2회는 메모리 부분에서 데이터 점검(패리티 점검)이 실패한 것을 의미합니다. 해결 방법 램 재장착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해결이 안 되었나요? 램 고장 가능성이 있습니다. 램 고장은 램 슬롯에 차례대로 껴보거나 다른 컴퓨터를 이용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램 검사 및 재장착에 대한

더 읽기 >

디지털 원패스 – 권한을 허용해주세요

디지털 원패스에서 필요한 권한 디지털 원패스에서 필요한 권한은 “전화” 권한입니다.   원패스앱을 꾹 눌러줍니다. 전화 권한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원패스 앱을 살짝 꾹 누릅니다.   i버튼(정보)를 누릅니다. i 버튼을 누릅니다.   권한을 누릅니다. 권한을 누릅니다.   전화를 누릅니다. 전화를 누릅니다.   허용을 누릅니다. 허용을 누릅니다. 이렇게 전화를 허용해주면 권한 메시지가 나오지 않고 잘 작동됩니다.

컴퓨터 비프음 1번 울림

(비프음이 안 나오나요? : 메인보드에 스피커를 다셔야 합니다. 스피커 사진: https://itcider.com/513)   증상 이유 컴퓨터 비프음 1회는 쇼트 현상입니다. 해결 방법 램 재장착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해결이 안 되었나요? 보드 사망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세한 상황을 댓글 또는 itcider sns로 남겨주세요  

pc 메인보드 스피커 사진

pc 메인보드 스피커 사진&설명 아래는 pc 메인보드에 비프음을 듣기 위해서 장착하는 스피커입니다. 저작권 불펌 금지 copy right itcider.com all right reserved 사용은 댓글이나 itcider sns를 이용해서 연락부탁드립니다.

컴퓨터가 3초~5초 들어오다가 꺼집니다.(램 접촉불량)

컴퓨터가 잠깐 들어오다가 꺼지는 것은 램 접촉불량입니다. pixabay   이렇게 램 슬롯이 있다면   램 장착 해제 1. 현재 장착된 램을 모두 걸쇠를 해제하고 빼주시길 바랍니다. (걸쇠는 대부분 제품은 두쪽 다 빼야 하고, 최신 제품 중에는 일부 제품은 한쪽만 빼도 됩니다.) (절대로 강제로 걸쇠나 램을 빼지 말아주세요. 쉽게 빠져야 정상적인 램 해제 방식입니다.)   램

더 읽기 >

미디어텍 헬리오 x25 MT6797T

요약 cpu: 63 / 100 gpu: 40 / 100 전반적 성능: 54 /100 용도: sns/웹 서핑/통신/게이밍 cpu의 주요 사용 미디어텍 헬리오 x25는 x20의 cpu 및 gpu 오버클럭 버전입니다. 데카코어 구성이기에 성능이 나쁘지 않으며, 사용하기에 괜찮습니다. x20, x23과 똑같이 고성능이지만 고온으로 인한 스로틀링이 자주 걸려서 게이밍에 좋진 않습니다.   용도 메이주 측에서만 거의 사용한 cpu입니다. 성능이 나쁘지

더 읽기 >

윈도우 10 장치관리자 들어가는 법 – 3가지

윈도우 10에서 장치관리자를 들어가는 방법은 다음 세가지입니다.   윈도우 검색을 통하여 들어가기 우선 윈도우 검색창을 열어줍니다.(win + s도 가능합니다) 장치 관리자라고 검색합니다. 열기를 눌러줍니다. 장치 관리자가 열렸습니다.   윈도우 단축키로 들어가기 win + X를 누릅니다. 그다음에 m을 눌러줍니다.(장치관리자를 눌러주셔도 됩니다) 장치 관리자가 열렸습니다.   윈도우 실행을 이용하기 win + R을 누릅니다. compmgmt.msc /s를 입력합니다. 확인을

더 읽기 >